생각나누기/글마당

[스크랩] 한국아동문학인 연도별 등단 일람표(허동인 작성)

나비 오디세이 2016. 7. 12. 18:59

한국아동문학인 연도별 등단 일람표 

약칭 : 동아일보(동아), 조선일보(조선), 경향신문(경향), 한국일보(한국), 서울신문(서울), 매일신문(매일), 중앙일보·소년중앙(중앙), 평화신문(평화), 자유신문(자유), 연합신문(연합), 국도신문(국도), 소년지(소년), 월간문학(월간), 아동문학평론(평론), 아동문예(문예), 창주아동문학상(창주), (기타)

연도

동요 · 동시

동화 · 소년소설

1923

  劉道順 [](동아·)  李軒求 [](동아·)

  상 희  [길남이와 숙녀](동아·)  ㅌㄹ[쥐먹은 집오리](동아·)  秦宗赫 [의좋은 남매](동아·)

1924

  尹石重[](新少年)

 

1925

  韓晶東 [소금쟁이] 4(동아·1)  張石田 [연꽃](동아·2)  劉澤寬 [가마귀](동아·3)  윤석중 [오뚜기](어린이)  尹克榮 (어린이·동요작사작곡)

  延銀龍 [날개 없는 비둘기](동아·)  尹石重 [올빼미의 눈](동아·)  馬奉榮 [비밀의 열쇠](동아·)  申必熙 [표백 소녀](동아·)  李周洪 [뱀새끼의 무도](新少年)

1926

  李元壽 [고향의 봄](어린이)

 

1927

  崔榮基[밤 자귀 소리](동아)  李落影 [달밤](동아)

 

1930

  姜小泉 [민들레와 울아기](조선)  尹福鎭 [동리의원](동아·1)  朴古京 [편지](동아·2)  李旬壽 [기다리는 기차](조선)  金聖道 [값없는 떡](별나라)

  李德成 [귀여운 복수](동아·1)  金哲洙 [어머니를 위하여](동아·2)  金完東 [구원의 나팔소리](동아·3)  이덕성 [아버지의 원수](조선)  金在哲 [까치의 꿈](조선)  김완동 [약자의 승리](조선)  金正漢 [욕심쟁이](조선)

1931

  睦一信 [물레방아](조선)  宋昌一 [거라지의 꿈](조선)  鄭刀令 [해를 잃었소](조선)  林春吉 [비 오는 밤](조선)  鄭宇烽 [달구짓군](조선·)

 

1932

  金子謙 [집 지키는 아이의 노래](동아)  孔日東[](동아·)  姜君一 [우리집](동아·)  趙春燕 [노을](동아·)  崔洙一 [어린 병정](동아·)  鄭俊杰 [내가 크면](동아·)  禹喆善 [보기 싫어요](동아·)  鄭 潤 [눈싸움](동아·)  李淸松 [허재비](조선)

  朴世琅 [엿단지](동아)

1933

  李赤世 [장꾼](동아)  金 澈 [동냥중](동아·)  H. H [비둘기](동아·)  金聖道 [강아지래요](新家庭)  朴泳鍾 [통짝짝 통딱딱](어린이)  朴京鍾 [왜가리](조선중앙일보)  權五順 (어린이 : 동시)

  柳 蓮 [만두 장사와 눈사람](동아·1)  秀 峯 [꿀벌 이야기](동아·2)  李玉敬 [효녀 정희](동아·3)  李鏞周 [소녀의 심정](동아·)

1934

  金英一 [반딧불](每日新報)  趙豊衍 (三四文學誌 同人)

 

1935

  黃明愛 [참새 생도](동아·)  李福鎭 [자선반 사과](동아·)  宋哲熙 [우리집](동아·)  李錫東 [베마당질](동아·)  張壽哲 (詩建設誌 同人)

  鄭純鐵 [꽁지 없는 참새](동아)  盧良根 [참새와 구렁이](동아·)

1936

  申錫姬 [달쪼각](동아·)  金德生 [무서운 밤](동아·)  崔靈珠 [불이야](동아·)

  盧良兒 [날아다니는 사람](동아)  任元鎬 [새빨간 능금](동아·)  崔白根 [만년 묵은 고양이](조선·)

1937

  金文厚 [題目 未詳](조선·)  金善汝 [題目 未詳](조선·)

  鄭日曉 [題目 未詳](조선·)  洪銀杓 (童劇團 백양회 대표)

1938

  許吉玉 [꽈리](동아·)  裵榮錫 [동그라미](동아·)  謠 仙 [](동아·)  김병기 [따쩌구리](동아·)

  丁秀民 [세 발 달린 황소](동아)  高信煥 [호랑이 꿈](조선·)  李柱訓 [순이와 짱아](每日新報)

1939

  金鎭敬 [울엄마](동아·)  李相宣 [](동아·)  康範九 [웃집 괭이](동아·)  洪壽得 [함박이](조선)

  金起八 [산새와 순이](동아)  金順妃 [민들레와 울애기](조선)  金統榮 [금송아지](조선)  尹鍾厚 [짚신 발자욱](조선)

1940

  朴元福 [하얀 눈](동아·)  朴陽松 [題目 未詳](조선)

  金霜玉 [앉은뱅이꽃](동아·)  金 郁 [題目 未詳](조선)

1941

  朴和穆 [피라미트](아이생활)

  金曜燮 [고개 넘어 선생](每日新報·2)

1946

  朴洪根 [고무총](새길신문)

 

1947

  崔啓洛 [수양버들](소학생)  金碩奎 [](경향·1)

  金鎭泰 [고집쟁이 양](경향·)

1948

  魚孝善 [졸업 축하의 노래](어린이)

  韓雲史 [날아간 새](少年小說)

1949

  李鍾琦 [가을](어린이 나라)  李鍾澤 [사과장수와 어머니](동시집)

 

1950

  李在撤 [풍선](공조, 시집)  孫東仁 (문예·)  洪銀順 [은방울](동시집)

  金來成 [마인](조선일보)

 1952

  呂運敎 [봄 여름 가을 겨울](동시집)

  劉永熙 [천사 지키는 아이들](동화집)  崔台鎬 [아름다운 이야기](동화집)

 1953

  金基鉉 [멧돌](소년세계)  金一路 [꽃씨](동시집)

  金相南 [산딸기 익는 마을](학원·소설)  劉庚煥 [오누이 가게](소년세계)

 1954

  劉庚煥 (새벗 : 동시)  石庸源 [종려](시집)

  咸處植 [꼬마 십자군](동화집)

 1955

    李禹煥 [산길](조선·)  金東極 [외갓집 가는 길](영남일보)  崔承烈 [무지개](동시집)

  沈貞熙 [봄과 함께](동아)  鄭在燮 [잃어버린 책보](동아·)  김원수 [소년과 메리](동아·)  曺基玩 [순이의 마음](동아·)  金時來 [금희와 도둑](조선)  朴材用 [영철이](조선·)  全 根 [사이도 좋다](조선)  徐晳圭 [장날](한국)  李寧安 [바람 부는 언덕](만화세계)

 1956

  吳慶雄 [땅 속의 꽃씨](동아·)

  金鍾達 [일요일에 생긴 일](동아·)  [연과 얼굴](동아·)  鄭周相 [경재와 하모니카](한국)  申智植 [하얀 길](창작집)  趙欣坡 [얄개전](학원)

 1957

  劉庚煥 [아이와 우체통](조선·)  朴仁述 [이른 봄](매일)

  金鎭昇 [옥이](조선·)  金炳泰 [조그마한 비석](자유신문·입선)  金相南 [황혼의 노래](부산일보)

 1958

  오영이(吳慶雄) [종이배](동아·)  朴 松 (자유문학시)  尹富鉉 (한국일보·시가작)  尹惠昇 (현대문학·)  朴敬用 (동아일보·시조가작)  曺有路 (동아일보·시조가작)

  沈暻錫 [화가 아저씨](동아·)  李聲勳 [산타클로스](조선·)  吳英民 [아기 염소와 흰 구름](평화·입선)  조유로 [꽃고무신의 기도](자유·입선)  韓樂源 (KBS : 방송극)

 1959

  朴容說 [푸른 감](동아·)  吳信樹 [꿈 그늘](동아·)  申鉉得 [문구멍](조선·)  박용열 [노을](경향)  宋明鎬 [시골 정거장](국도)

  盧孤樹 [화가 아저씨](동아·)  鄭普錫 [우산과 손수건과 과자](조선·)  李英讚 [별과자와 가방](경향)  오영민 [마음의 노래](자유)  張旭淳 [들장미](연합)  崔仁鶴 [노래하는 꽃동산](동화집)  주 평 (현대문학·희곡)

 1960

  申鉉得 [](조선)  趙莊熙 [엄마 마중](조선·)  金鍾祥 [산 위에서 보면](서울)  崔連洙 [집 보는 날](한국)  金東極 [동시공부](감상지도서)  金思林 (자유문학·시천료) (동시집)  李在徹 (자유문학·시천료)  李俊球 [봄을 기다리는 아이들](동시집)

  金容誠 [돌이와 나](동아)  趙誠源 [낙엽과 바람](조선)  신 탄 [홍시를 지키는 아이](조선·)  崔淑鄕 [작은 씨앗의 꿈](한국)  李龍海 [책 보던 날](자유·입선)  崔仁鶴 [봄을 기다리는 아이들](소설)

1961

  趙藏熙 [산골 겨울밤](조선)  江靑三(강윤제) [군밤](경향)  洪京春 [설빔](한국·)  李熙澈 [도사락밥](서울)  全晶男 [눈꽃이 피었는데](영남일보)  李俊凡 [황우](시집

  박명완 [생각하는 사자](동아)  오영민 [남수와 닭](조선)  李沙泉 [묘비명](경향)  李俊淵 [인형이 가져온 편지](한국)  黃英愛 (동화·日日新聞)  金恩照 (장편소년소설·일일신문)  李英俊 [동물원의 새나라](개천예술제)  尹史燮 [전봇대가 본 별들](동화집)  鄭輝昌 [어린이 역사이야기](역사소설)  車元材 (동화·소년한국일보)

1962

  李根培 [달맞이꽃](조선·)  李相鉉 [수레](경향)  金元起 [아기와 바람](한국)  鄭相默 [산골 아기](한국·)  文木山 [자개를 줍자](한국·)  車普鉉 (아동문학·동시)

  허나미 [꽃공](동아·)  李禧成 [엄마돈 누나돈](동아·)  李 寬 [강마을](조선·)  노경자(오영민) [앓는 양](경향·)  金榮淳 [학처럼](한국)  成基政 [슬픈 메아리](한국·)  周 美[푸른 꿈은 하늘 높이](동화)

1963

  尹斗赫 [낙하산](동아)  文三石 [시골학교 난로가에는](조선)  嚴基元 [골목길](한국)  嚴漢晶 [새 우산](아동문학·천료)  許東仁 [병원집 아이](공보부 신인예술상)  崔日煥 [선생님은 나를](아동문학)

  이희성 [먼 나라의 눈](동아)  李鍾憲 [수현이와 옥진이](동아·)  崔孝燮 [철이와 호랑이](한국)  李亨道 [자라바윗골 아이들](매일)  睦海均 [밤톨 삼형제](동화집)  정휘창 [밀리미터학교](동화집)

1964

  崔雲杰 [](동아)  이범노 [산골 이발소](조선)  방우(田文秀) [빈 운동장](경향)  허동인 [빗방울](경향·)  장종태 [산꽃](한국문인협회)  金漢龍 [순이야 노마야](동시집)  房極龍 [창가에 그림자가](아동문학·천료)

  南美英 [아기 송아지](동아)  李賢周 [밤비](조선)  柳麗村 [바람을 그리는 어린이](경향)  申松旻 [주판](경향·)  金鍾漢 [꽃씨](서울)  김 향(金鍾穆) [석류](매일)  金賢友 [하늘에 기를 올려라](학원·장편소설)

1965

  崔夏林(현이숙) [인사](동아)  金信哲 [장미꽃](동시집)  朴仁述 [계절의 선물](동시집)  朴鍾炫 [빨강 자동차](동시집)  鄭鎭採 [꽃밭](동시집)  김 향 [신호등](아동문학·1)

  曺鉉禮 [비 오는 날](동아)  柳在用 [키다리 풍선장수 아저씨](조선)  權容徹 [들국화](경향)  李 寬 [당나귀](한국)  尹一淑 [돼지](한국·)  金漢圭 [분이와 들국화](서울)  權泰文 [꽃모종](매일)  任信行 [성게와 가자미](국제신문)  李允子 [똘똘이](아동문학·1·동극)  韓相壽 (동화·소년한국일보)

 1966

  유재희 [아침 우물가](동아)  金精一 [할머니 주머니](한국)  이 만 [거울조각](한국·)  李壽貞 [꽈리](한국·)  張永幹 [봄눈](중앙)  金三鎭 [나뭇잎](중앙)  吳順鐸 (시문학·)

  吳鐸藩 [철이와 아버지](동아)  孫春翼 [선생님을 찾아온 아이들](조선)  李榮浩 [토끼](경향)  金永子 [엄마와 선생님](경향)  曺大鉉 [영이의 꿈](서울)  김영자 [외톨밤과 다람쥐](아동문학·천료)  金鎭昇 [화야랑 서규랑 왕코 할아버지랑](중앙)  朴相圭 [영길이와 좋은 일](충청일보)

1967

  鄭椀永 [해바라기처럼](동아)  尹錫山 [편지](중앙)  諸海萬 [꽃싹](매일·)  崔春海 [겨울 땅속](매일·)  李廷吉 [동산에 달 오르면](매일·)

  李德子 [발이 큰 아이](동아)  유시도 [손전등](조선)  高啓榮 [털샤스](한국)  趙敞煥 [신의 오른손과 사랑에 관한 이야기](한국가)  姜香林 [웅이와 염소](서울)  李相琴 [따뜻한 손](중앙·)  朴豊子 [뜨거운 한나절](매일)  朴鍾海 [왕구슬과 고무풍선과 철이와](예총신인예술상)  朴勝一 [꾀병](동화집)  李英俊 [토끼들](동극·아동극협회)

1968

  金鹿村 [](동아)  金幸子 [좋겠어요, 소년은](중앙)  姜俊榮 [아침](매일)  權奇煥 [가을바람의 생각](매일·)  오규원 (현대문학·시천료)

  柳貞玉 [개구리](동아)  朴喜淑 [제목미상](동아)  張勝男 [성 너머의 아이](조선)  金碩鎬 [골목대장의 혁이](경향)  金美榮 [눈 오는 밤의 심부름](한국)  任信行 [달마산의 아이들](한국)  權泰文 [이른 봄에 운 매미](서울)  吳世鉢 [아기중](중앙)  한상연 [대장과 아이들](중앙·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1969

  金精一 [콩 두 알](동아)  유병근 [돌 하나](서울·)  김낙현 [기차 속에서](서울·)  愼鏞三 [감나무와 할머니](중앙)  李月光 [밭에서](매일)  李茂一 [눈오는 날](소년)  方元助 [가을 그림](횃불)  魏英男 [아기와 풍선](횃불)  朴敦穆 [오동잎 우산](동시집)  柳聖允 [은방울 금방울](동시집)

  李曉成 [네 발 달린 우산](동아)  朴英錦 [기차](조선)  최영애 [도토리나무는 서서 잔다](서울)  朴澤鍾 [산골 아이](매일)  황신정 [물망초의 목소리](소년)  권정생 [찔레꽃잎과 무지개](횃불)  朴聖培 [마귀를 이긴 선희](횃불)  李允子 [딩동댕 구두병원](동화집)

1970

  金奎(明吉) [꽃씨](동아)  李章熙 [샘물](서울)  丁重秀 [강가에서](중앙)  李東植 [짝고무신](매일)  李鎭鎬 [보릿고개](소년)  李海仁 [아침](소년)

  張在鐵 [거위와 두 형제](동아)  金貞子 [까치의 꿈](조선·)  韓惠善 [햇빛과 별빛의 요술사](한국)  임신행 [하얀 물결](서울)  閔炳淑 [나비야 너는 알지](중앙)  權奇煥 [고향의 노래](매일)  朴澤鍾 [뻐꾸기](매일·)  沈君植 [잃어버린 왕자](동화집)

1971

  金素國 [철이와 남이의 하루](동아)  姜泰基 [저금통](한국)  李準冠 [초록색 크레용 하나로](서울)  田文秀 [기다림](중앙)  李明哲 [타작마당](매일)  金 香 [빛과 소리를 잡는 아이](소년중앙)  金恒植 [남산공원](소년)  宣 勇 [봉황새알의 기적](소년세계)  崔東一 [만나고 싶은 아이](전남일보)

  李五德 [](동아)  금석운 [유리구슬](조선)  任敎淳 [연못 속의 동네](한국)  박택종 [모과나무와 할아버지](서울)  朱京順 [할매의 죽음](중앙)  權正生 [아기양의 그림자](매일·)  이영호 [얼굴 없는 기념사진](소년중앙)  金丘衍 [꼴망태](월간)  趙鎭泰 [비둘기](월간)  주경희 [덕이](경기일보)

1972

  李宣烈 [거울](동아)  鄭浩承 [석굴암을 오르는 영희](한국)  河淸鎬 [둥지 속의 아기새](매일)  李明秀 [감 하나](매일·)  盧源浩 [산골 샘](매일·)  全元範 [꽃씨](전남일보)  김 향 [박꽃] 1(소년중앙·최우수)  李善娥 [](소년중앙·우수)  愼鏞三 [바닷가 아이](소년중앙·우수)  천등인 [아침](소년중앙·)  정형랑 [꽃신](소년중앙·)  전청자 [여치 우는 교실]((소년중앙·)  金基鉉 [무지개](동시집)  金尙鍊 [꽃구름 동동](동시집)

  鄭鎭採 [연밥](동아)  具鎭書 [산울림](조선)  李金玉 [감또개](소년중앙·최우수)  朴文泰 [고니](소년중앙·우수)  박택종 [낳은 엄마 기른 엄마](소년중앙·우수)  고계영 [까치 우는 마을의 아이들](소년중앙·)  이채영 [가슴속을 흐르는 자장가](소년중앙·)  朴春姬 [새벽에 오는 기차](소년)  李大浩 [하늘을 뚫는 소년](소년)  金恩淑 [하얀 안개의 꿈](아동문학사상 8)  卞相皓 [꽃자리 마을](문공부 동극)  姜基洪 [사랑의 열매](새마을문예)  徐宰均 [아름다운 선물](동화집)

1973

  河淸鎬 [봄에](동아)  金鍾榮 [아침](조선)  朴裕錫 [꽃이 되면](한국)  李明秀 [이웃사촌](매일)  장지은 [숲길 아침](소년중앙·최우수)  柳相德 [봄아침](소년중앙)  兪漢根 [갈게 이야기](소년중앙·우수)  金在洙 [제비집](창주)  李準冠 [대추나무 대추열매 속에는](창주)  全元範 [바다와 하늘](월간)  朴鍾綠 [가로수 길](문예)  宋振錫 [새동네 꽃동네](동시집)  梁棟[민들레의 말](동시집)  鄭光修 (현대문학 : )  崔政雄 [억새의 노래](전남일보 ·)

  丁採琫 [꽃다발](동아)  權正生 [무명저고리와 엄마](조선)  郭永錫 [노랑나비의 노래](한국·동극)  金宣珠 [동화 쓰는 엄마](매일)  金玉坤 [잠자는 금관](소년중앙최·우수)  조문호 [꿈의 날개](소년중앙·우수)  백도기 [산골 아이와 꽃먹새](소년중앙·우수)  姜純娥 [시비오방의 아이](소년)  全元範 [바다와 하늘](월간·)  尹甲哲 [학교 가는 날](월간·)  李龍海 [학예회 연습](문공부·동극)  權純河 [바람 속에 피는 꽃](소년소설)  宣 勇 [어부와 물귀신](중국동화)

1974

  金興洙 [해님](동아)  李文石 [가뭄](조선)  李相敎 [달맞이꽃](조선·)  盧源浩 [바다에는](매일)  김현숙 [누나와 나](소년중앙·최우수)  李知炯[하늘](소년중앙최·우수)  崔綱烈 [남빛 여름의 파도](소년중앙·최우수)  金在洙 [골목](소년)  李相敎 [집보는 날](소년)  趙奎永 [봄날](소년)  權五勳 [고드렛돌 넘기는 할아버지](월간)  李瑞仁 [한약방 할아버지](월간)  이상교 [책장이 할아버지](월간)  朴芝鉉 [묘포장](부산아동문학)   李斗煥 [해님과 아기와](동시집)  朱成浩 [꿈나라](동시집)

  鄭萬泳 [광일이와 워리](동아)  姜純娥 [한 마리의 흰양](조선)  朴鍾九 [은행잎 편지](경향)  裵翊天 [달무리](한국)  강순아 [하나님께 올립니다](매일)  정채봉 [무지개](소년중앙·최우수)  尹壽千 [산마을 아이](소년중앙·우수)  홍연희 [기러기](소년중앙·우수)  金載昌 [배냇소](광주일보)  康廷珪 [](소년)  朴松梨 [봄을 심는 아이들](문공부)  安重綱 [가막골의 별무리](문공부·)  김의섭 [철새](문공부·동극)

1975

  김지영 [비 오는 날](동아)  盧源浩 [바다를 담은 일기장](조선)  李秀浩 [산열매](매일)  全元範 [](소년중앙·최우수)  金淑姬 [겨울밤](소년중앙)  尹壽千 [아침](소년중앙·우수)  김보라 [염소](소년)  金容碩 [가을이 오면](소년)  李淵昇 [방앗간](월간)  方元助 [얘기 주머니](월간)  權五三 [오월](월간)  金元錫 [할머니의 주름진 얼굴](월간)  윤수천 [누나의 가을](창주)  孫東然 [국어시간의 아이들](전남일보)  金尙文 [시를 찾는 교실](한글문학)  오하룡 (시집 : [모향])

  李 賢 [아기노루와 영이](동아)  崔均喜 [아기참새](조선)  丁重秀(정형일) [](한국)  文赫烈 [바람이 불고 있습니다](매일)  金 穆 [강나루 할아버지](소년중앙·최우수)  金忠道 [어항](소년중앙·우수)  金相南 [비둘기](소년중앙·우수)  康廷珪 [](소년)  宋在贊 [화가아저씨](창주)  鄭木日 (월간문학 : 수필)

1976

  尹壽千 [항아리](조선)  全元範 [](중앙)  孫源祥 [바람의 일기](매일)  방원조 [늦가을](소년중앙·최우수)  권오삼 [그네 타는 아이](소년중앙·우수)  崔才煥 [고추잠자리](소년중앙·우수)  金鍾斗 [산 위에서](소년)  金文弘 [대추골 경사](월간)  金載昌 [느티나무](월간)  洪多苑 [도롱테](월간)  咸鍾億 [하얀 그림](문예)  景 鐵 [관음보살](문예·동시조)  崔桃奎 [고목](문예)  李逢春 [엽서](문예)  尹伊鉉 [한낮](문예)  鄭惠珍 [꽃밭](문예)  鄭然德 (시문학 : )

  宋在贊 [찬란한 믿음](동아)  李好永 [준이네 토끼들](조선)  한수연 [바람골 우체부](한국)  韓尹伊 [동박골 아이들](서울)  朴春喜 [앉은뱅이 책상 밑의 세계](매일)  朴春姬 [가슴에 바다를](소년중앙·최우수)  金文弘 [바닷가의 소년](소년중앙·우수)  南宮京淑 [가을바람](소년중앙·우수)  曺平圭 [돌무덤](월간)  金寬植 [용아 박용철론](전남일보·평론)  金容在 [곱추](문예)  吳永煥 [색깔은 다르지만](문예)  林仁鎭 [칠석날](여성중앙)  兪英善 [효남이](여성중앙·)  이환순 [순이네 시계방](여성중앙·)  張文植 [형제](전남일보)

1977

  趙奎永 [고추밭](동아)  高英圭 [봄비](조선)  金在元 [여름 냇가](소년중앙·최우수)  金鍾憲 [동화](소년동아·우수)  孫月香 [가을산](소년중앙·우수)  李香二 [오후](소년)  최도규 [교실 꽉찬 나비](월간)  朴斗淳 [종달새](평론)  金振九 [토담가](평론)  朴根七 [가을 마당](평론)  孔在東 [소나기](평론)  鄭鏞元 [백제의 쌀](평론)  許明熙 [눈 오는 날](새벗)  景 鐵 [아미타불](문예)  南鎭源 [아침 청소](문예)  鄭夕影 [봄 오는 골목](문예)  박두순 [겨울바람](문예)  徐源雄 [파란 눈](문예)  張四道 [아침 이슬](문예)  鄭惠珍 [꽃밭](문예)  崔萬祚 [가을바람](문예)  柳碩煥 [홍시](부산아동문학)  河學吉 [왔던가요](동시집)

  韓貞圭 [날아가는 조약돌](조선)  李相敎 [풀꽃의 시](조선·)  孫壽福 [바닷가에서 주운 이야기](한국)  兪英善 [귤빛 날개의 부나비](서울)  金幸美 [크리스마스 이브에 있었던 일](매일)  이신창 [다롬 마을 학섭이](소년중앙·우수)  남경우 [잔솔 나뭇잎의 소원](소년중앙·우수)  崔志勳 [스쳐지나는 문학](평론지·평론)  景 鐵 [동시조의 현대적 수용](평론지·평론)  全良雄 [곰보 할머니와 누렁이](문예)  金相三 [철이와 살구나무](창주)  南宮京淑 [토끼몰이](여성중앙)  이명숙 [크레파스 가족](여성중앙·)  정민자 [장난감 전화로 엄마 찾은 이야기](여성중앙·)  배신열 [돌부처와 심술이 형제](여성중앙·)  安玉姬 [저 산 너머에 행복이](월간·동극·)  

1978

  崔英哉 [쳇바퀴와 다람쥐](동아)  李東雲 [고니](조선)  金完成 [보리밭](소년중앙·최우수)  盧金燮 [꽃씨](소년중앙·우수)  이선옥 [](소년중앙·우수)  趙斗燮 [봄이 오는 길목](매일)  徐五根 [](월간)  김완성 [햇빛들의 나들이](월간)  高相淳 [오월](평론)  閔弘祐 [ 항아리](평론)  曺永柱 [털장갑](평론)  金鍾完 [대숲에서](평론)  吳斗燮 [봄뜰](평론)  정하나 [내가 지을 집](평론)  安修輝 [등대](평론)  洪判植 [일기장](평론)  金聲起 [겨울 눈](평론)  김종완 [겨울 꽃나무](문예)  許琥錫 [노을](문예)  김성기 [서낭당](문예)  吳哲錫 [이슬](문예)  李昌圭 [어시장 부둣가](문예)  조영주 [뽕밭](문예)  孫廣世 [](문예)  孫東然 [해질 무렵](문예)  許炯萬 [나무와 나뭇잎](문예)  金在鏞 [종소리](문예)  權明姬 [일요일](문예)  신갑선 [바람과 만난 아이](창주)

  崔英姬 [봄을 파는 가게](동아)  진 섭 [나막신](조선)  金炳圭 [춤추는 눈사람](한국)  朴聖培 [선아만의 비밀](서울)  朴雲澤 [보름달이 뜰 때까지](서울)  李垂助 [푸른 항아리](매일)  李圭喜 [연꽃등](소년중앙·최우수)  최재봉 [호야의 종기](소년중앙·우수)  金英姬 [작은엄마와 축구공](소년중앙·우수)  玉順媛 [누나와 피리](여성중앙)  金炳泰 [누렁이의 복수](동화집)  尹玉子 [하얀 마음](구연동화집)

1979

  趙斗燮 [얼레](동아)  鄭玉南(정한나} [비둘기](조선)  曺茂根 [새벽](매일)  李東泰 [꼴망태](소년중앙·)  全愛子 [](소년중앙·)  權寧相 [](강원일보)  정하나 [별 이야기](월간)  曺茂根 [물동이](월간)  조무근 [달팽이](평론)  손광세 [혼자서 길을 가면](평론)  兪文東 [남쪽 섬](평론)  李芝山 [물레방아](평론)  朴永珪 [과수원에서](평론)  이지산 [아이들 눈동자](문예)  박봄심 [도라지꽃](문예)  朴性天 [바람이 그리는 그림](문예)  姜賢鎬 [나이테](문예)  權寧相 [](문예)  金寬植 [토끼 발자국 ](문예)  朴 逸 [단풍잎 은행잎](문예)  李國在 [초록 잎새](문예)  朴鍾祿 [가로수길](문예)  姜九中 [해운대 아침](문예)  沈允燮 [물레방아](문예)  朴洵範 [봄의 목소리] 2(문예)  李雨哲 [시골 정거장](문예

  金 淑 [날래 달린 아가](동아·)  張泰範 [흰둥이와 검둥이](조선)  李東烈 [봄을 노래하는 합창대](한국)  金玉愛 [너는 어디로 갔니?](서울)  金相三 [눈을 감은 누렁이](매일)  姜淑仁 [동화 속의 거울](소년중앙)  姜廷勳 [하루살이를 아시나요](월간)  景 鐵 [동시조의 형태적 수용](평론지·평론)  김수기 [서당골 노다지](평론)  김여울 [민들레의 고향](평론)  辛忠幸 [따스한 겨울](평론)  이슬기 [석상 이야기](평론)  홍봉아 [아름다운 동산](평론)  백영미 [웅이](여성중앙·)  金英姬 [한쪽 귀만 가진 강아지의 이야기](샘터)  金淑姬 [동석이와 자전거](동극·교육개발원)

1980

  李準燮 [강강수월래](동아)  朴成萬 [불씨](조선) (동아·)  金鍾憲 [원두막](매일)  申彦蓮 [봄소풍](소년중앙·)  金振光 [해야 솟아라](소년)  朴英珪 [종소리](월간)  高相淳 [사월](평론)  吳哲錫 [(2)](평론)  鄭雲模 [조리](평론)  權寧世 [바람개비](평론)  沈厚燮 [하늘](평론)  權永相 [](문예)  심후섭 [봄비](창주)  권영세 [새날](창주)  이은용 [목련꽃](어린이문예)

  金來鎬 [하늘 땅 땅만큼 좋아해요](동아·)  康正勳 [맷돌](조선)  張文植 [신기료 할아버지](한국)  朴相圭 [바보와 선생님](서울)  辛忠幸 [뜰 안에 봄빛이 익어갈 때](소년중앙·)  沈厚燮 [가버린 흰줄이](소년)  全商基 [나막이의 나들이](평론)  吳仁淑 [햇살이 사는 마을](평론)  朴斗圭 [한국고대아동문학론](문예·평론)  李殷淑 [해바라기 할아버지](창주)  姜秋愛 [저 창 밖에 무엇이 있을까?](어린이문예)  高成柱 [나비야 청산 가리](월간·동극)  權寧鎬 [옥이와 피라미](기독교교육)  玉順媛 [누나와 피리](여성중앙)  李相基 [꼬마병정](소년소설) 

1981

  申彦蓮 [](동아)  윤한로 [분교 마을의 봄](조선)  李相龍 [일기장](경향)  박병용 [이야기](매일)  全炳昊 [내가 타고온 밤기차](소년중앙)  金奎星 [서리꽃](강원일보)  權寧世 [반짇고리](월간)  沈仁燮 [](평론)  朴春心 [바닷가 아이](평론)  李載鳳 [어머니의 저녁](평론)  김규성 [시골 아침](평론)  朴德重 [크레파스](평론)  玉米造 [아기바람에게도 엄마의 사랑이](문예)  심인섭 [들새](문예)  許芝淑 [여름](문예)  金性洙 [길동이](창주)  구옥순 [](어린이문예)

  金雲經 [하느님의 호주머니 속에는 무엇이 들어 있을까](동아)  金正彬 [나무와 아이](조선)  金學善 [까치소리](경향)  辛忠幸 [부처님 웃으시다](한국)  金秀美 [소리들의 꿈](서울)  서순원 [왕눈이와 돌이](매일)  배봉기 [밤골 아이들](소년중앙)  鄭善惠 [유년동화론](평론지·평론)  孫基源 [마음으로 그린 그림](문예)  梁點烈 [바닷가에 핀 해당화](문예)  高文山 [엄마는 알고 계셔](문예)  鄭大衍 [혼자 우는 개구리](문예)  朴商在 [하늘로 가는 꽃마차](문예)  채 향 [난쟁이 마을](어린이문예)

1982

  全炳昊 [비닐우산](동아)  마르가리따 [엿장수](조선)  전영관 [](경향)  申春熙 [햇살과 다람쥐](매일)  權寧相 [하늘에서 온 아이들](소년중앙)  최명자 [병아리들의 축제](소년중앙·)  金振光 [감나무골 아이](월간)  金相錫 [종이 위에](월간)  趙命濟 [팔베개](월간)  金石基 [겨울밤 가로수](평론)  이화주 [나뭇잎](평론)  鄭斗理 [분수대에서](평론)  崔長吉 [나이테 이야기](평론)  趙漢豊 [숲에서](평론)  金鍾淳 [교문을 나서며](평론)  洪淳泰 [강낭콩 꼬투리](평론)  李昌健 [첫 나비](문예)  姜玉喆 [노을](문예)  조명제 [동백꽃](문예)  宋南善 [참새](문예)  김형경 [제기차기](창주)  박필상 [저녁 바닷가에서](창주)  이계명 [감자밭에 참새떼](소년)  申鉉培 [강아지풀](소년)  최장길 [대보름 저녁연](어린이문예)

  이슬기 [아지랑이로 짠 비단](동아)  姜賢鎬 [](조선)  金英姬 [강마을 동이](경향)  朴美淑 [하늘 낚시](한국)  李相禮 [맹이는 내 동생](서울)  이슬기 [](매일)  盧慶實 [누나의 까만 십자가](소년중앙·)  沈厚燮 [가버린 흰줄이](소년)  여울물 [눈 위에 핀 꽃](소년)  姜龍珪 [달빛 진주](소년)  孫基源 [빨간 장갑](새벗)  심후섭 [별은 어디에 있었나?](월간)  李永斗 [성주골 아이들](평론지·동극)  金容熙 [권용철론](평론지·평론)  蘇重愛 [엄지 병아리](평론)  이영두 [철쭉꽃 메아리](평론)  李 茂 [잠자는 병아리](평론)  咸守男 [할머니의 생일](문예·동극)  李相培 [천년 바람](문예)  李 影 [징검다리](문예)  曺圭垂 [훈이와 민들레](문예)  金鍾淳 [반딧불](어린이문예)  박태희 [잔디처럼 민들레처럼](수기집)  신상철 [어린이의 세계와 동화](입문서)

1983

  尹三鉉 [달이 그린 수채화](동아)  曺東和 [첨성대](조선)  金用根 [제비](매일)  이정석 [할머니](소년중앙)  申鉉培 [서낭당](창주)  金東燮 [미루나무](평론)  金森灘 [풍향계](평론)  李成寬 [밤열차](평론)  尹日光 [봄바람](평론)  鄭斗理 [분수대에서](평론)  조영일 [겨울 참새](월간)  許琥錫 [아침 아이들](월간)  김 의 [낙엽](새벗)  權守煥 [어머니](문예)  홍선주 [겨울밤의 꿈](문예)  염양자 [강둑에 앉아](문예)  이상우 [] 3(문예)  宋在珍 [석류](광주일보)  尹淳正 [꽃씨](어린이문예)  조철규 [봄 여름 가을 그리고 겨울](문예)

  김여울 [하느님의 발자국 소리](동아)  申璟燮 [아기꽃씨의 꿈](조선)  마을구 [사람이 된 허수아비](경향)  姜敏淑 [고무줄 새총](한국)  金玉坤 [봉황새](서울)  金榮洙 [로봇이 된 소년](매일)  李 影 [소년과 얼둑배기](소년중앙)  朴德垠 [경수의 하늘나라 여행](광주일보)  朴英京 [그림 그리는 아이](평론)  朴宰亨 [달나라가 그리운 토끼들](문예)  李相培 [엄마 열목어](월간)  鄭大衍 [수박마을 개미들](월간)  孫基源 [빨간 장갑](새벗)  김영훈 [꿈을 파는 가게](문예)  윤영일 [거꾸로 달리는 기차](문예)  박진용 [우리들의 도깨비](문예)  박덕은 [기다림 연극](문예)  金英鎬 [시냇가에 버드나무](부산MBC)  高成柱 (월간문학·희곡)

1984

  鄭斗理 [다리 놓기](동아)  진홍원 [하늘](중앙)  윤규일 [석수장이](경향)  金性洙 [엄마의 수틀](조선)  박상재 [꿈꾸는 대나무](한국)  김상남 (매일신문 : 동시)  姜英熙 (아동문학평론 : 동시)  金英機 (아동문예 : 동시)  金伶洙 (아동문예 : 동시)  金用根 (아동문학평론 : 동시)  金容雄 (아동문학평론 : 동시)  金鍾石 (아동문예 : 동시)  金學烈 (아동문학평론 : 동시)  柳善烈 (아동문예 : 동시)  朴英子 (한국방송공사<수기당선> : 동시)  朴炯喆 (월간문학 : 동시)  裵昭賢 (아동문학평론 : 동시)  白榮鉉 (아동문학평론 : 동시)  徐孝錫 (아동문학평론 동시)  成性模 (아동문학평론 : 동시)  申秀榮 (아동문학평론 : 동시)  申炯健 (아동문예 : 동시)  安永鈺 (월간문학 : 동시)  呂東九 (시조문학 : 동시조)  尹月熙 (아동문학평론 : 동시)  李晶雨 (아동문학평론 : 동시)  全二坤 (아동문예 : 동시)  晋洪圓 (소년중앙 : 동시)  崔政雄 (아동문예 : 동시)  崔震騏 (아동문학평론 : 동시)

  김서로(金相三) [꽃배](동아)  鄭鉉洙 [그리움을 먹고사는 사람들](중앙)  정우봉 [늦동이의 나비꿈](경향)  임나라 [파랑이의 구름마차](서울)  崔玉姬 [등잔불](조선)  沈厚燮 [눈 내리던 날의 아버지](매일)  金亮洙 (강원일보 : 동화)  金自煥 (광주일보 : 동화)  康元喜 (아동문학평론 : 동화)  郭鍾粉 (아동문학평론 : 동화)  金亮洙 (아동문학평론 : 동화)  申東一 (아동문학평론 : 동화)  金日光 (창주문학상 : 동화)  金鐵水 (월간문학 : 동화)  朴太熙 (소설집 : [발가락으로 글을 쓰는 아이])  柳根元 (아동문학평론 : 동화)  申東一 (아동문학평론 : 동화)  安 燾 (월간문학 : 동화)  劉英姬 (아동문학평론 : 평론)  李琴(새벗 : 소설)  李賢淑 (아동문예 : 동화)  李惠媛 (아동문학평론 : 동화)  李熙甲 (월간문학 : 동화)  河良子 (아동문학평론 : 동극)   

1985

  金慶重 (아동문예 : 동시)  金東億 (아동문예 : 동시)  김정환 (매일신문 : 동시)  金俊永 (아동문학평론 : 동시)  孫明德 (공저동시집 : [능금꽃 피는 마을])  梁會成 (아동문예 : 동시)  尹萬洙 (시조문학 : 동시조)  李殷庸 (경향신문 : 동시)  鄭春子 (아동문학평론 : 동시)  張龍喆 (조선일보 : 동시)  崔昌淵 (아동문학평론 : 동시)  宋在珍 [삼팔선을 나는 작은 공](한국아동문학)  

  姜 岸 (아동문예 : 동화)  權五瑛 (창주문학상 : 동화)  金明姬 (아동문학평론 : 동화)  金守基 (아동문학평론 : 소설)  金自然 (아동문학평론 : 동화)  金鎬在 (한국아동문학인협회 : 동화)  文官植 (동화집 : [만돌이])  朴明姬 (아동문예 : 동화)  朴賢緖 (동화집 : [해돋이마을의 비둘기들])  朴炯球 (동화집 : [별난 나라 여행기])  裵泓太 (소년 : 동화)  孫蓮子 (동아일보 : 동화·)  申蘭姬 (월간문학 : 동화)  安在植 (동화집 : [꽃동네 아이들])  安孝善 (동화집 : [남색 공작나비])  尹玉子 [엄마 두꺼비](평론)  윤태규 (매일신문 : 동화)  程承基 (기독교교육 : 동화)  趙星子 (아동문예 : 동화)  趙顯述 (경향신문 : 동화)  陳常鏞 (조선일보 : 동화)  崔 湧 (아동문학평론 : 평론)  崔慈英 (소년 : 동화)  洪光勳 (서울신문 : 동화)  林廷珍 [굴뚝아저씨의 요술노래](마로니에백일장)  

1986

  姜萬永 (아동문학평론 : 동시)  高正善 (아동문예 : 동시)  具滋龍 (동시집 : [빨간 뾰족집])  權亨河 (소년중앙 : 동시)  金淑粉 (아동문학평론 : 동시)  金五秀 (새싹시조문학 : 동시조)  金亨植 (아동문예 : 동시)  南道榮 (시조문학 : 동시조)  羅基燮 (경향신문 : 동시)  徐芝月 (아동문예 : 동시)  孫廣世 (동아일보 : 동시)  孫明熙 (아동문학연구 : 동시)  宋在珍 (한국아동문학 : 동시)  申春熙 (창주문학상 : 동시)  申鉉培 (조선일보 : 동시)  吳必錫 (아동문학평론 : 동시)  李鐘浩 [문익점](한국아동문학)  李鎬成 (아동문학연구 : 동시)  田宰承 (시문학 : 동시조)  鄭春子 [옹기장수 할아버지](평론)  全晶男 (동시집 : [하얀 달])  鄭震三 (동시집 : [백합의 향기])  崔南浩 (아동문예 : 동시)  洪 淇 (매일신문 : 동시)

  權錫順 (월간문학 : 동화)  金京中 (아동문학평론 : 평론)  金基洪 (아동문학평론 : 동극)  金善泰 (동화집 : [은행잎 하나])  金淑粉 (아동문학평론 : 동화)  金在元 (경향신문 동화)  金勳一 (아동문하평론 동화)    柳陳嬌 (아동문학평론 : 동화)  文善姬 (동아일보 : 동화)  朴錫順 (동시조문학 : 동시조)  白時億 (소년 : 동화)  孫辰東 (소년중앙 : 동화)  兪孝眞 (계몽아동문학상 : 동화)  尹太奎 (동화집 : [에이쿠나 호랑이])  尹姬子 (아동문학평론 : 평론)  李敬浩 (아동문학평론 : 동화)  李相汶 (어린이문예 : 동시)  李知媛 (아동문예 : 동화)  이혜원 (조선일보 : 동화)  林玉順 (아동문예 : 동화)  장갑환 (매일신문 : 동화)  張敬鎬 (아동문학평론 : 동화)  趙漢順 (아동문예 : 동화)  蔡贊錫 (아동문학평론 평론)

1987

  金東國 (동아일보 : 동시)  金元東 (아동문예 : 동시)  都利天 (아동문예 : 동시)  徐貞淑 (아동문학평론 : 동시)  吳守煥 (시조문학 : 동시조)  李東植 (동시집 : [개나리 노란배])  李美愛 (조선일보, 매일신문 : 동시)  李錫章 (아동문학평론 : 동시)  黃八守 (창주문학상 : 동시)

  金用文 (아동문학평론 : 동화)  金更子 (한국아동문학 : 동화)  김일광 (매일신문 : 동화)  金自煥 (계몽사어린이문학상 : 동화)  金政憲 (아동문예 : 동화)  金泰河 (월간문학 : 동화)  南宮明玉 (아동문학연구 : 동화)  南錫起 (아동문학평론 : 소설)  朴雲澤 (아동문학평론 : 동화)  白聖姬 (새벗 : 동화)  白時憶 (소년 : 동화)  申良淳 (동아일보 : 동화)  李 朋 (월간문학 : 동화)  任福根 (아동문예 : 동화)  任永順 (아동문예 : 동화)  鄭永愛 [몽당연필](한국아동문학)  조한순 (조선일보 :동화)  최창숙 (중앙일보 : 동화)  韓英熙 (아동문학평론 : 동화)  許純鳳 (아동문예 : 동화)  황일현 (공저동화집 : [악마의 눈물])

1988

  金成奎 (아동문학평론 : 동시)  용섭 (아동문예 : 동시))  金鍾學 (아동문학평론 : 동시)  이창모 (매일신문 : 동시)  이희찬 (동아일보 : 동시)  張勝蓮 (아동문예 : 동시)  鄭炯澤 (아동문예 동시)  玄貞愛 (조선일보 : 동시)  沈惠玉 (아동문예 : 동시)

  姜振亨 (아동문예 : 동화)  具恩瑛 (아동문예 : 동화)  金泳鐘 (조선일보 : 동화)  曺春姬 (아동문학평론 : 동화)  孫秀子 [호박꽃 이야기](평론)  朴敏浩 [베갯잇에 핀 연꽃](소년)  朴淑姬 [꿈마차 황금마차](매일)  白承子 [다람쥐와 들꽃](문예)  沈文善 [석이와 염소 할아버지](백제문예)  崔時柄 (동화집 : [꿈 속의 집])  金周賢 (동화집 : [백일 동안의 여행])  張世蓮 [소녀의 무지개](창주)  조문현 [무지개 눈사람](평론)

1989

  閔玄淑 [합창](소년중앙)  白 珉 [](문예)  沈惠玉 (조선일보 : 동시)  李相汶 (새벗 : 동시)

  姜泰熙 [아빠의 여름](문예)  金奉任 [인어가 된 아이](문예)  金昭延 마음에 그린 얼굴(문예)  金圓慶 [꼬마별 이야기](계몽아동문학상)  金泰斗 [깜순이와 아람이](경남신문)  南錫起 [방파제](평론)  하원 [인어가 된 파랑이](부산일보)  李善姬 [돌사자의 숨소리](월간)  李貞惠 [꽃잎 속의 아이](문예)  咸在洙 [소쩍새의 울음](한국아동문학·동극)

1990

  姜洙性 [바위와 나](문예)  姜精三 [무지개](평론)  金珪植 [수양버들](아동문학연구)  金玉培 [기와집](농민문학)  朴安淑 [까치 둥지](어린이문예)  趙載成 [솔바람](문예)  崔 香 [눈 온 날](문예)  韓明順 [풀잎의 눈과 새들의 귀로](문예)  상언 [달밤](문예)

  具瓊粉 [냉이꽃](아동문학연구)  金慶子 [초인종의 기쁨](월간)  金哲守 [섶밭 마을 아이들과 정자나무](경남신문)  온균 [선물](문예)  안나 [길 잃은 페르시아왕](새벗)  梁東大 [무지개 마을의 꿈잔치](아동문학)  元裕順 [개구리 선생님](평론)  尹姬善 [삐삐 장구 풀](문예)  윤희 [남희가 데려온 봄](문예)  홍우천 [마지막 학예회](문예)

1991

  姜大澤 [토란잎](문예)  金素雲 [모형항공기](문예)  金一權 [겨울밤](문예)  金在順 [아가방 해님](문예)  朴潤圭 [슬픈 바퀴](세계일보·)  朴定植 [할아버지 아파트](문예)  宋相弘 [소리굽쇠](평론)  李龍順 [키재기](매일)  李春姬 [징검다리](평론)

  金龍文 [꽃 실은 종이배](전북일보)  金響二 [베틀노래 흐르는 방](계몽아동문학상)  文貞玉 [발바닥 돌](평론)  裵慧瓊 [공중전화와 할머니](부산일보)  안나 (동아일보 : 동화)  李永玉 [무지개 피우는 날](문예)  鄭敬蓮 [흥네 마을 이야기](문예)  鄭鎭淑 [무지개로 수놓은 봄](문예)  曺京淑 [돌이와 바다](샘터)  최영인 [뽐내는 자두나무](경남신문

1992

  金文起 [숨쉬는 첨성대](동아)  金鳳錫 [](평론)  朴惠善 [감자꽃](새벗)  李敬淑 [꼬부랑 들길](문예)  봉희 [풀과 숲](문예)  李誠子 [시계와 별과 아이](평론)  鄭求聖 [별 걱정 다해](문예)  정무웅 [미루나무](평론)  최영인 [완행열차](평론)  崔允禎 [할머니의 틀니](평론)

  金眞宇 [무지개 마을의 개나리꽃](어린이문예)  盧庚實 [오목렌즈](한국)  文炳善 [개수아비](문예)  安善模 [대싸리의 꿈](문예)  安聖敎 [기억의 자전거](어린이문예)  李 慶 [나리인형과 갈대숲 요정들](평론)  李 林 [코끼리차와 호수](서울·)  이영희 (문화일보 : 동화)  鄭惠原 [어항 속의 세상](강원일보)  주인섭 [개구쟁이 공화국](문예·동극)  韓相南 [고운 하늘](문예)

1993

  金出根 [놀이실](평론)  朴晸雨 [두레박](문예)  韓哲洙 [그림 이야기책](평론)

  柳碩煥 [바다의 노래](어린이문예)  박경선 [동전 두 개](평론)  宋鐘浩 [소년과 갯바람](월간)  은경 [날아간 하얀 새](문예)  崔美先 [꼬까참새와 모과나무](경남신문)  표시정 [아기게](평론)  韓銀慶 [수리부엉이의 외출](광주일보)

1994

  박경선 [방학에는 술래 되어](문예)  朴信植 [시 낭송회]((문예)  년식 [오두막](한국아동문학)  梁載洪 [하늘소](문화일보)  吳善子 [호박꽃](문예

  吉志蓮 [통일모자](문화일보)  단이 [볍씨의 꿈](순수문학)  金連姬 [부처님 감은 눈 언제나 뜰까](강원일보)  金英美 [블랙 플라이](광주매일신문)  金鍾一 [탱자나무 울타리가 있는 집](MBC창작동화대상)  金鉉淑 [도깨비를 찾습니다](MBC창작동화대상)  白美淑 꽃은 흙에서 핀다(서울)  蘇敏浩 [바보바위](동화문학)  李 林 [한 꾸러미 작은 이야기](계몽아동문학상)  李承直 [나도 메아리가 사는 산에 살래요](문예)  鄭 珍 [열려라 문](새벗)  李張浩 [날개 잘린 새](국제신문)  鄭惠原 [도자기 할아버지의 웃음](문예

1995

  金美善 [씨앗 속에는](문예)  金珍英 [](한국아동문학)  盧如心 [개구쟁이](한국아동문학)  石命玉 [바다, , 아이들](경남문학)  李敬禧 [매미야](평론)  崔甲順 [굴렁쇠](문예)

  權珉秀 [깜띠기](눈높이아동문학상)  金慧悧 [마지막 선물](한국)  金熙淑 [형아지기](새벗)  文仁和 [용둥굴레의 종소리](문화일보)  朴景台 [무지개는 언제 뜰까](계몽아동문학상)  成泫周 [눈꽃마을의 별](문예)  沈相禹 [사랑하는 우리 삼촌](MBC창작동화대상)  全晟希 [내 동생](매일)  曺任紅 [종소리](서울)  韓恩善 [마음을 씻어주는 목욕탕](월간)  黃慶淑 [용이 앗아간 종](문예)  선미 [마음에 심는 꽃](농민문학)

1996

  金九鏞 [바람](문예)  金美英 [할머니](문예)  金潤洙 [색연필](문예)  金正順 [새학년 새교실](문예)  金 珍 (MBC아동문학대상 : 동시)  문선이 [아버지](문화일보)  朴禮子 [사진틀 속 할머니](자유문학)  徐香淑 [시골 빈집에](조선)  安美蘭 [주차 금지](동쪽나라아동문학상)  李敬愛 [엄마 목소리](문예)  李敬禧 [달이 된 엄마 얼굴](월간)

  金鍾一 [가을날의 산책](문화일보)  睦桂仙 [종이 풀밭에서나온 노루](조선)  辛琦玉 [염소 배내기](서울)  嚴禮鉉 [아버지의 동창회](문예)  崔仁榮 [벼랑풀 두렁풀](문예)  崔惠珍 [늙은 개 이야기](문예)  韓政岐 [작은 불꽃](부산일보)  洪鍾義 [철조망꽃](대전일보

1997

  朴姬順 [](문예)  徐在煥 [새 달력](동아)  李恩河 [하얀 목련](문예)  이혜영 [엄마라는 말](문예)  洪守安 [마라분교 아이들](문예)

  金原子 [안녕, 큐티](부산일보)  金春玉 [도시로 간 호박](문예)  盧庚壽 [동생과 색종이](MBC창작동화대상)  朴安羅 [대감항아리](눈높이아동문학상)  李敬淳 [찾아라 고구려 고분벽화](삼성문학상)  李在姬 [꿈꾸는 새](문예)  이채울 [낙타 아저씨와 유리구두](어린이동산)  張敬善 (자유문학 : 동화)  채인선 [전봇대 아저씨](창비 좋은어린이책)  崔惠珍 [놀부 할아버지의 땅](국제신문

1998

  새별 [집짓기](문예)  吳銀英 [휴전선 넘기](문예)  李惠容 [불장난한 날](동아)  鄭甲淑 [가을날 시 줍기](문예)  崔奎順 [후회](한국아동문학연구)  황병무 [하늘 마음](문예)

  수산나 [삽살개 이야기](문예)  金晶玉 [삼색 나비목걸이](동아)  吳敬任 [봄바람에 날아간 돌하르방 모자](평론)  張盛惟 [열한 그루의 자작나무](평론)  張壽珉 [콩할머니집 돌담과 호박넝쿨](문예)  鄭聖蘭 [몽당고개 도깨비](삼성문학상)  咸泳蓮 [아기도깨비와 밀곡령](계몽아동문학상)

1999

  金承泰 [빈 화분](부산아동문학)  金良順 [가을 하늘](평론)  金榮寬 [바다](교육평론)  朴仙美 [술래잡기](부산아동문학)  박선미 [줄넘기](창주)  尹東基 [팬지꽃](소년문학)  李光義 [파란 나무](한맥문학)  李宣永 [빗물의 바람](문예)  李昌安 [통일소](문예)  鄭甲淑 [나무와 새](동아)  鄭旻娥 [유치원에 날아온 물잠자리](평론)  崔斗鎬 [안경](문예)  韓相順 [풀꽃](자유문학)

  姜庚嬉 [그루와 송이](문예)  金鶴山 [섬아이 필남이](문예)  김학산 [내 친구 토니](월간)  金鉉淑 [12월의 동물원](조선)  徐夕影 [오해](문예)  梁美鎭 [도꼭지 할배](창주)  魏正賢 [달님이 보고 있어](평론)  李玉善 [사랑의 다리](문예)  李知縣 [사과꽃 피는 언덕](MBC창작동화대상)  채유진 [뭉치의 신나는 하루](문예·동극)  崔寶銀 [기쁨 나무](문예)  崔英香 [아빠를 만나러 가는 거북이](농민신문)  許純榮 [백년만에 피는 꽃](평론)

2000

  마리아 [1월의 꽃밭](문예)  金自然 [까치네 학교](한국)  金鍾憲 [봄바람이](평론)  裵貞順 [우리 엄마 거울](문예)  薛龍水 [가을 햇살은 왜 짧아지는가](문예)  劉美姬 [같이 걷지요](문예)  윤병욱 (아동문학평론 : 동시)  李順姬 [글짓기 하던 날](문예)  이주원(본명 李香株) [겨울 친구](문예)  李知恩 [텃밭에서](문예)  장재경 [기도하는 어머니](문예)  현정 [갯벌](문예)  韓銀姬 [연못 속에는](아동문학)

  金京順 [농게가 변했어요](문예)  金敬玉 [엄마는 명탐정](문예)  金美敬 [지구별에 온 어린 왕자](한맥문학)  閔玄淑 [풍경화를 그리며 달리는 바퀴](MBC창작동화대상)  朴男淑 [돌아온 요정](문예)  孫好京 [가족사진](문예)  柳泳珍 [태풍이 지나간 자리](문예)  劉 宗 [춤추는 케이크](문예)  李玟貞 [비둘기 할아버지](창주)  李喜坤 [달우물역 철마가 간다](조선)  崔美先 [물갈퀴새와 아기공룡](문예)

2001

  金春南 [계단의 꿈](매일)  盧吉子 [소라껍질](문예)  沈孝淑 [풀씨](문예)  李桂玉 [눈꽃]((문학세계)  鄭善惠 [황금액자](아동문학연구)  영미 [새싹](평론)

  姜美先 [꿈꾸는 쌍무지개](평론)  김고은(金明嬉) [비키의 새벽](문예)  李永得 [달맞이꽃](어린이문화진흥회)이영득 [화왕산의 불꽃](경남신문)鄭明淑 [세 친구](문예)崔美惠 [, 새들과 함께](국제신문)한소향(본명 韓玉善) [종 속에서 우는 새](부산일보)

2002

  朴昭明 [땡땡 때죽나무](월간)  朴貞淑 항아리에 말을 담그세요](부산아동문학상)  曺斗鉉 [계단](평론)

  김반달 [화가 할아버지와 손녀](문예)  金榮寬 [사계의 민족주의 아동문학](평론지·평론)  奉賢珠 [보리암 스님](한국)  昔英姬 [바람이 된 햇살](국제신문)  申珠善 [연꽃을 틔우는 아이들](부산일보)  申惠順 [현이의 나막신](문예)  李相美 [편 가르는 아이들](농민신문)  張壽明 [꼬까신](제주문학상·)  趙泰奉 [비둘기 아줌마](조선)  崔敬喜 [하늘을 날아온 자장면](문예)  黃福實 [얼굴](마로니에백일장

2003

  金玉順 [새 아침처럼](문예)  元那淵 [항아리](문예)  柳熙允 [사다리](부산일보)  鄭雲一 [복조리](문예)

  金美淑 [바다를 떠난 은빛이](새벗)  金熙貞 (샘터 동화상 수상)  申建子 [만세, 정전은 끝났다](문예)  吳明淑 [우체부가 된 푸푸](문예)  李道煥 [동화 속에 감추어진 시대정신](평론지·평론)  李始九 [허수도 엄마가 있어요](평론)  李貞順 [항아리](문예)  이 현(본명 이현숙) [슬리퍼의 슬픔](문예)  林恩卿 [어느 할머니의 꿈](문예)  張壽明 [해님이 사는 마을](평론)  최 선(崔道先) [닭서리](월간)  명남 [모래섬에 피는 웃음꽃](국제신문)

2004

  金錦來 [사과의 문](부산일보)  김희정 (어린이문학 : 동시)  安永善 [키 재기](평론)

  姜 然 [배나무 동굴](평론)  노영희 [천둥벌거숭이의 눈물](매일)  白恩夏 [할머니의 선물](충청일보)  梁東大 [비단조개와 진주](전남일보)  李賢書 [원숭이 아빠](MBC창작동화대상)  채유진 [거북 등딱지는 진주래요](문예)  崔亨美 [누가 우무강을 죽였을까](농민일보)  韓銀姬 [메리와 메롱](문예)

2005

  崔明蘭 붓꽃(조선)

  李明姬 [감나무의 기도](문예)  鄭敬子 [엄마의 지갑](아동문학연구)

2006

 

 

   이재철 님의 <한국아동문학인의 연도별 등단 일람표>를 많이 참고하였다. 이런 작업은 생각보다 쉽지는 않았다. 무엇보다 정확성을 기해야 하는데, 자료가 허술하고 부족해서 누락된 이름도 많고, 등단 연도와 작가명, 작품명도 정확하다고는 할 수 없다. 잘못된 부분은 앞으로도 계속 바로잡아 나갈 생각이다. (허동인)


출처 : 판타지 동화
글쓴이 : 흙香 원글보기
메모 :